전주천년한지관 로고

전주천년한지관 로고

SITEMAP 전주천년한지관
전체메뉴닫기
닫기
통합검색
켜켜이 쌓인 한지에서 천년의 시간을 마주합니다.

자료실

한지정보

※ 참고자료

- 최태호, 「한지의 제조와 문화」,『산림문화전집』14, 숲과문화연구회, 2020, 91-134쪽.

- 정선화, 「전통한지의 제조 기술 및 우수성에 관한 논고」,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8,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5, 96-131쪽.

재료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고정지(藁精紙) 귀리짚, 보리짚, 볏짚을 닥섬유와 같은 인피섬유 등으로 혼합하여 만든 종이

※ 다른 이름: 북지(北紙), 북황지(北黃紙) 황지(黃紙)

곡지(穀紙) 닥껍질로 만든 종이로 사경(寫經)에 많이 쓰임

※ 다른 이름: 미지(楣紙), 가지지(加地紙)

금지(金紙) 안피지나 석견지에 금박이나 의사박을 발라 만든 종이
노화지(蘆花紙) 갈대 섬유로 만든 종이
대마지(大麻紙) 대마 인피섬유로 만든 종이, 섬유의 강도가 강하여 포장용지로 사용
등지(藤紙) 등나무로 만든 종이
마골지(麻骨紙) 분쇄한 대마 속대(겨릅대)를 섞어 만든 종이
마분지(馬糞紙) 짚을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종이
마지(麻紙) 대마 인피섬유로 만든 것과 삼베로 만든 것 두 종류가 있음, 전자는 지질이 곱고 당지와 비슷하나, 후자는 약간 거칠고 자른 조각이 나타남
면지(棉紙) 목화 또는 무명 넝마를 섞어 만든 종이
분백지(粉白紙) 분을 먹인 흰 종이
상지(桑紙) 뽕나무 껍질을 섞어 만든 종이
송엽지(松葉紙) 솔잎을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종이
송피지(松皮紙) 소나무 속껍질(송기, 松肌)을 섞어 만든 종이
안피지(雁皮紙) 산닥나무 껍질섬유(雁皮)로 만든 종이로 매우 얇으나 질기고 투명하여 모사용으로 쓰임
운모지(雲母紙) 한지에 운모를 뿌려 만든 종이

※ 다른 이름: 운모입지(雲母入紙)

유목지(柳木紙) 버드나무를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종이
유엽지(柳葉紙) 버드나무 잎을 섞어 만든 종이
의이지(薏苡紙) 율무를 원료로 만든 종이
저지(楮紙) 한지의 일반명으로 닥나무 껍질(인피섬유)로 만든 종이
죽지(竹紙) 대나무 섬유로 만든 종이
태장지(笞壯紙) 털처럼 가는 해초를 섞어 만든 종이
태지(笞紙) 민물에 서식하는 해캄을 섞어 만든 종이로 사군자를 칠 때 썼다고 함

※ 다른 이름: 측리지(側理紙)

피지(皮紙) 닥껍질을 넣어 만든 종이로 질이 낮음
황마지(黃麻紙) 황마를 섞어 만든 종이
색채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계색지(繼色紙) 점엽장사본(粘葉裝寫)의 단편(斷片)으로 옛 색지 가운데 유명함
남지(藍紙) 쪽물 등으로 물들인 남색(藍色) 종이
단목지(丹木紙) 단목(丹木, 蘇方木)으로 붉게 물들인 종이
도화지(桃花紙) 잇꽃(紅花)으로 물들인 종이
묵지(墨紙) 먹으로 물을 들인 종이
상지(橡紙) 도토리나무로 물들인 종이
아청초주지(鴉靑草注紙) 검푸른 물을 들인 종이
옥색저주지(玉色楮注紙) 옥색 물을 들인 종이
은면지(銀面紙) 은색으로 반들반들하게 만든 종이
청색지(靑色紙) 푸른색 물을 들인 종이
초록지(草綠紙) 회화나무꽃(槐花)으로 염색한 종이
취지(翠紙) 하늘색 물을 들인 종이
홍저주지(紅楮注紙) 붉은색 물을 들인 종이
황국지(黃菊紙) 치자(樞子)로 염색한 종이
황지(黃紙) 누런 빛의 종이로 고정지라고도 하며 함경도 지방에서 많이 만듦
황염초주지(黃染草注紙) 매자나무 열매로 황색 물을 들인 얇은 종이
가공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금전지(金箋紙)
은전지(銀箋紙)
금(은)박을 붙여 장식한 종이
능화지(綾花紙) 능화판에 밀어 문양을 낸 종이
도침지(搗砧紙) 다듬잇돌로 두드려 평활하고 윤이 나게 한 종이
동유지(桐油紙) 유동(油桐)씨 기름을 먹여 건조한 종이
만년지(萬年紙) 옻칠이나 기름을 먹인 종이
사록지(紗漉紙) 종이를 뜰 때, 발 자국을 없애려고 비단을 깔아 뜬 종이
은면지(銀面紙) 은색 빛깔로 반들반들하게 만든 종이
포목지(布目紙) 종이를 뜰 때, 발 자국을 없애려고 포를 깔아 뜬 종이
용도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간지(簡紙, 簡壯紙) 펀지 쓸 때 사용한 종이
갑의지(甲衣紙) 갑옷 제조나 병졸들의 겨울옷에 솜 대신 넣었던 종이
계목지(啓目紙) 임금님께 올리는 서류목록을 적었던 종이
공사지(公事紙) 관아에서 공사기록에 사용한 종이
관교지(官敎紙) 나라나 관아에서 교지 명령을 내릴 때 사용한 종이
궁전지(宮箋紙) 임금님께 길흉을 적어 올릴 때 사용한 종이
권선지(勸善紙) 절에서 보시를 청하는 종이주머니로 권선대(勸善袋), 권지(勸紙)라고도 하며 불사가 있을 때 추수기에 집을 찾아다니며 나누어 줌
도광지(塗壙紙) 장사지낼 때 무덤 속의 벽에 발랐던 종이
면지(面紙) 죽은 사람의 이름을 가리는 오색지
반절지(半切紙) 전지를 반으로 잘라 서화에 썼던 종이
배접지(褙接紙) 종이 뒷면에 붙여 썼던 종이
봉물지(封物紙) 봉물을 싸던 종이
부본단지(副本單紙) 서류의 부본을 만들 때 사용한 종이
상소지(上疏紙) 임금님께 상소를 올릴 때 사용한 종이
서계지(書契紙) 문서를 계약할 때 썼던 종이
서본지(書本紙) 글체의 본을 썼던 종이
선자지(扇子紙) 부채를 만드는 데 사용된 종이
세화지(歲畵紙) 새해에 축하용 그림을 그려 붙이는 종이
소지(燒紙) 신에게 소원을 빌 때 태워 올리는 종이
시전지(詩箋紙) 한시를 썼던 종이
시지(試紙) 과거용 시험 용지. 명지(名紙)라고도 함
시축지(詩軸紙) 시를 적던 두루마리 종이
어람지(御覽紙) 임금이 보는 글이나 그림의 바탕재로 만든 종이
염지(染紙) 경문(經文)을 쓰던 종이로 주로 불교경전을 씀
염습지(殮襲紙) 죽은사람의 염을 할 때 사용하는 종이
우산지(雨傘紙),일산지(日傘紙) 종이우산(양산) 만드는데 사용한 종이
월력지(月曆紙) 달력 만드는 종이
유둔지(油芚紙) 우비를 만드는 데 사용한 기름 먹인 두꺼운 종이
인지(印紙) 인지를 만드는 데 사용한 종이
입모지(笠帽紙) 갓 위에 씌웠던 방수용 기름 먹인 종이
자문지(咨文紙) 중국 등에 보냈던 외교문서에 사용된 종이, 지질이 매우 좋음
저주지(楮注紙) 저화(楮貨)를 만들 때 썼던 종이
족보지(族譜紙) 족보를 만들 때 썼던 종이
주지(注紙) 승지가 왕명을 받아 적을 때 썼던 종이
주본지(奏本紙) 임금께 올리는 문서용으로 만든 종이
주유지(注油紙) 우산(양산)을 만들 때 썼던 종이
지등지(紙燈紙) 등에 발랐던 종이로 등롱지라고도 함
창작지(創作紙) 조선시대 세금으로 거두던 쌀에 덧붙여 수수료 대신 받았던 종이
창호지(窓戶紙) 문에 바르는 종이
첨지(籤紙) 책에 무언가를 표시하기 위해 붙이는 쪽지로 부전지(附箋紙)라고도 함
첩지(疊紙) 절첩(折疊)하여 만든 책본이나 책 봉투
축문지(祝文紙) 제사지낼 때 읽는 축문을 적었던 종이
초도지(初途紙) 도배할 때 맨 처음 바르는 종이
표전지(表箋紙) 임금께 올리는 표문과 전문을 쓰기 위해 만든 종이
피지(皮紙) 닥나무 수피를 첨가하여 만든 종이
화본지(畵本紙) 글체의 본을 그리는 종이
화선지(畵宣紙) 그림이나 글씨를 썼던 종이
화지(火紙) 담뱃불 등을 붙여서 쓰던 종이로 얇은 종이를 길게 말아서 만듦
환지(還紙) 재생지를 말함
혼서지(婚書紙) 혼서를 썼던 종이
크기와 두께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각지(角紙) 가장 두꺼운 종이
강갱지(强硜紙) 넓고 두꺼운 종이
백지(白紙) 색깔이 희고 큰 종이로 책을 만드는 데 사용했던 종이
대호지(大好紙) 넓고 긴 종이, 크기 2.4자 x 1.7자
사괴지(四傀紙) 본本이 크고 두꺼운 백지
소호지(小好紙) 좁고 앓은 종이, 크기 2.22자 x 1.65자
삼첩지(三疊紙) 백지보다 두껍고 길이와 폭이 크고 누런 종이
선익지(蟬翼紙) 두께가 잠자리 날개처럼 아주 얇은 종이
심해지 폭이 좁고 얇은 종이
장지(壯紙) 두껍고 단단한 종이
죽청지(竹靑紙) 얇으나 질기고 단단한 종이
후지(厚紙) 두꺼운 종이로 시지(詩紙)에 많이 쓰임
대(大)발지 2자 x 3.7자의 대발로 뜬 종이
중(中)발지 1.9자 x 3.3자의 중발로 뜬 종이
소(小)발지 1.7자 x 3자의 소발로 뜬 종이
배지(倍紙) 포갠 횟수에 따라 일배지에서 육배지까지 있음
생산지에 따른 분류
종이명 내용
경장지(京壯紙) 서울, 지방산을 구분할 때 쓰는 이름으로 세검정에 있던 조지서에서 나온 미장지(美壯紙)는 경장지(京壯紙), 각 지방에서 나온 장지는 향장지(鄕壯紙)라고 함
경지(慶紙) 경상북도 경주에서 만들었던 종이
백로지(白露紙) 평안도 영변에서 만들던 종이로 영변지라고도 함
상화지(霜花紙) 전라북도 순창 부근에서 만들던 종이로 광택이 나고 질김
설화지(雪花紙) 강원도 평강에서 만들던 백지로 눈송이처럼 흰 백지라는 뜻
완지(完紙) 전라북도 완주(전주)에서 만들던 한지
이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이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주세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흑석로 85 전주천년한지관

TEL. 063-281-1630 Fax. 063-285-8556

E-mail. jeonjuhanjim@naver.com

Copyright 2022-2024 전주천년한지관.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 로그인

예약하기

찾아오시는길

위로
조직도